해운대 달맞이길의 '해월정(海月亭)'
오늘은 음력 1월 15일 正月 대보름날..
대보름날은 명절의 하나로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이란 중원(中元 : 음력 7월 15일, 백중날)과 하원(下元 : 음력 10월 15일)에 대칭이 되는 말이다.
달의 움직임을 표준으로 삼는 음력을 사용하는 사회에서는 첫 보름달이 뜨는 대보름날이 보다 더 중요한 뜻을 가져온 듯하다.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측면에서 보면, 달은 생생력 (生生力)을 바탕으로 한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음양사상(陰陽思想)에 의하면 태양을 '양(陽)' 이라 하여 남성으로 인격화되고,
이에 반하여 달은 '음(陰)' 이라 하여 여성으로 인격화된다.
따라서 달의 상징적 구조를 풀어 보면 달-여신-대지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地母神)으로서의 출산력을 가진다.
이와 같이 대보름은 풍요의 상징적 의미로 자리매김 한다.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歲時風俗)에서는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크다.
정월 대보름 세시풍속(歲時風俗)으로는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면 '부스럼 깬다'하여 잣 ·날밤 ·호두 ·은행 ·땅콩 등을 깨물며
일년 열 두달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축원한다. 대개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물어 먹는다.
또 아침 일찍 일어나 사람 을 보면 상대방 이름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고 한다.
이렇게 더위를 팔면 그 해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청주 한잔을 데우지 않고 마시는 귀밝이술을 먹기도 하고
아침 식사 후에는 소에게 사람이 먹는 것과 같이 오곡밥과 나물을 키에 차려주는데,
소가 오곡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
아이들은 대보름날이 되면 '액연(厄鳶) 띄운다'고 하여 연에다 '액(厄)' 혹은 '송액(送 厄)' 등을 써서
연을 날리다가 해질 무렵에 연줄을 끊어 하늘로 날려 보냄으로써 액막이를 한다.
주부들은 단골무당을 청하여 가신(家神)과 여러 잡신들을 풀어 먹임으로써 가내의 평안을 기원하는데,
이를 안택(安宅)이라고 한다.
대보름날 밤 달맞이 풍속으로 초저녁에 높은 곳으로 올라서 달을 맞는데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길하다고 한다.
아울러 달의 형체, 대소, 출렁거림, 높낮이 등으로 1년 농사를 점치기도 했다.
달집태우기도 대보름날 밤에 행해지는데, 횃불싸움 과 쥐불놀이 등과도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불을 지른후 피어 오르는 연기와 더불어 달을 맞이하고,
쥐불놀이와 더불어 이웃마을과 횃불싸움을 하기도 한다.
대보름 음식으로는
정월 대보름에는 약반 혹은 오곡밥, 복쌈, 9가지 나물음식등을 먹는 풍습이 있다.
대보름날엔 세 집 이상의 타성(他姓) 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며, 평상시에는 하루 세 번 먹는 밥을
이 날은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해서 틈틈이 여러번 먹는다.
* 약반 : 햅찹쌀을 찌고, 또 밤·대추·꿀·기름·간장 등을 섞어서 함께 찐 후 잣을 박은 음식.
* 오곡밥 : 음력 정월 대보름에 먹던 대표적인 음식으로 찹쌀 · 차조 · 붉은 팥 · 찰옥수수 ·검은콩 등을 섞어 5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
* 복쌈 : 밥을 김이나 취나물, 배추잎 등에 싸서 먹는 풍속을 말한다.
복쌈은 여러 개를 만들어 그릇에 노적 쌓듯이 높이 쌓아서 성주님께 올린 다음에 먹으면 복이 온다고 전한다.
* 아홉가지 나물 : 정월 대보름에 먹던 음식으로 가을에 말려 두었다가 물에 불려 삶아 무치거나 볶는 아홉 가지 나물을 말한다.
한국 천문 연구원에 따르면 2/21일 부산지방의 해 뜨는 시간은 07:05분..해 지는 시간은 18:11분
달 뜨는 시간은 18:23분..달 지는 시간은 익일 07:00분으로 나타나있다.
부산 지방의 대표적인 달맞이는 해운대 달맞이길 고개에 위치한 해월정(海月亭)이다.
'오늘 문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무회의에서 언급된 라면... (0) | 2008.03.10 |
---|---|
봄!!봄!!봄!!봄이 왔다. (0) | 2008.03.01 |
기러기 아빠 호랑나비 김흥국.. (0) | 2008.02.13 |
ㅋㅋ목욕탕 화재 뉴스의 댓글이 우스워서.. (0) | 2008.01.26 |
영화 '뜨거운 것이 좋아'의 썰렁 유머.... (0) | 2008.01.16 |